시험 일정 확인
수수료- 필기 : 19400 원 / - 실기 : 24100 원
가스 기사 출제 기준 다운로드
자격정보
(1) 가스기사
① 가스기사란 응시자격을 갖춘 자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가스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② 가스기사 자격은 고압가스의 제조과정에서부터 소비과정에 이르기까지 안전에 대한 규제대책, 각종 가스용기, 기계, 기구 등에 대한 제품검사, 가스취급에 따른 제반시설의 검사 등 고압가스에 관한 안전관리를 실시하기 위하여 제정하였다.
(2) 자격 특징
① 가스기사는 안전관리 분야에 관한 국가기술자격 제도로서, 안전관리에 관한 기사 자격으로는 가스기사, 건설안전기사, 산업안전기사, 산업위생관리기사, 소방설비(기계분야)기사, 소방설비(전기분야)기사, 인간공학기사, 화재감식평가기사가 있다.
② 가스기사는 고압가스 및 용기제조의 공정관리, 가스의 사용방법 및 취급요령 등을 위해 예방을 위한 지도 및 감독업무와 저장, 판매, 공급 등의 과정에서 안전관리를 위한 지도 및 감독업무를 수행한다.
시험정보
(1) 응시자격 :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 대졸(졸업예정자) · 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 3년제 전문대졸 + 실무경력 1년 · 2년제 전문대졸 + 2년 · 산업기사수준 훈련과정 이수 + 2년 |
실무경력 4년 (동일, 유사 분야) |
※ 관련학과 :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화학공학, 가스냉동학, 가스산업학, 에너지화학공학, 가스에너지공학 등 관련학과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건설, 광업자원, 기계, 재료, 화학, 섬유 · 의복, 전기 · 전자, 정보통신, 식품가공, 인쇄 · 목재 · 가구 · 공예, 농림어업, 환경 · 에너지
(2)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필기시험 | ① 가스유체역학 ② 연소공학 ③ 가스설비 ④ 가스안전관리 ⑤ 가스계측 |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
실기시험 | 가스 실무 | 복합형[필답형(1시간 30분) + 작업형(1시간 30분 정도)] 배점 : 필답형 60점, 작업형 동영상 40점 |
(3) 합격 기준
①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②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4)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5) 검정현황
① 필기 시험
2020 | 3,534 | 1,352 | 38.3% |
2019 | 3,483 | 1,307 | 37.5% |
2018 | 2,853 | 1,048 | 36.7% |
2017 | 2,740 | 1,092 | 39.9% |
2016 | 2,558 | 741 | 29% |

가스기사 필기
② 실기 시험
2020 | 2,370 | 1,004 | 42.4% |
2019 | 2,375 | 452 | 19% |
2018 | 1,527 | 394 | 25.8% |
2017 | 1,732 | 942 | 54.4% |
2016 | 1,514 | 505 | 33.4% |

가스기사 실기
가스 기사 합격률
79,913 | 21,214 | 26.5% | 36,122 | 12,323 | 34.1% | ||
가스기사 | 2022 | 3,698 | 716 | 19.4% | 1,712 | 527 | 30.8% |
가스기사 | 2021 | 4,068 | 1,455 | 35.8% | 2,096 | 743 | 35.4% |
가스기사 | 2020 | 3,534 | 1,352 | 38.3% | 2,370 | 1,004 | 42.4% |
가스기사 | 2019 | 3,483 | 1,307 | 37.5% | 2,375 | 452 | 19% |
가스기사 | 2018 | 2,853 | 1,048 | 36.7% | 1,527 | 394 | 25.8% |
가스기사 | 2017 | 2,740 | 1,092 | 39.9% | 1,732 | 942 | 54.4% |
가스기사 | 2016 | 2,558 | 741 | 29% | 1,514 | 505 | 33.4% |
가스기사 | 2015 | 2,401 | 716 | 29.8% | 1,260 | 169 | 13.4% |
가스기사 | 2014 | 1,935 | 433 | 22.4% | 701 | 133 | 19% |
가스기사 | 2013 | 1,465 | 255 | 17.4% | 455 | 144 | 31.6% |
가스기사 | 2012 | 1,373 | 238 | 17.3% | 369 | 135 | 36.6% |
가스기사 | 2011 | 1,258 | 219 | 17.4% | 385 | 203 | 52.7% |
가스기사 | 2010 | 1,646 | 268 | 16.3% | 663 | 133 | 20.1% |
가스기사 | 2009 | 1,933 | 418 | 21.6% | 686 | 204 | 29.7% |
가스기사 | 2008 | 1,741 | 496 | 28.5% | 714 | 353 | 49.4% |
가스기사 | 2007 | 2,066 | 382 | 18.5% | 690 | 309 | 44.8% |
가스기사 | 2006 | 2,191 | 463 | 21.1% | 716 | 230 | 32.1% |
가스기사 | 2005 | 1,796 | 353 | 19.7% | 767 | 213 | 27.8% |
가스기사 | 2004 | 1,715 | 359 | 20.9% | 723 | 101 | 14% |
가스기사 | 2003 | 1,748 | 434 | 24.8% | 767 | 238 | 31% |
가스기사 | 2002 | 1,979 | 276 | 13.9% | 575 | 179 | 31.1% |
가스기사 | 2001 | 2,881 | 518 | 18% | 770 | 264 | 34.3% |
가스기사 | 1984 ~2000 |
28,851 | 7,675 | 26.6% | 12,555 | 4,748 | 37.8% |
활용정보
(1) 취업
① 각 지역의 도시가스업체, 고압가스 전문 제조업체, 저장업체, 판매업체 등으로 취업할 수 있다.
② 기타 도시가스 사업소, 용기제조업소, 냉동기계제조업체 등 전국의 고압가스 관련업체로도 취업이 가능하다.
③ 건설회사 등으로도 진출한다.
④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등의 기술직으로 입직하기도 한다.
⑤ 소방직 공무원으로 진출할 수 있다.
(2) 우대 :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3) 가산점
①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을 준다. 가스기사에게는 공업직렬의 화공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 · 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 · 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4) 자격부여
① 가스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도시가스사업법에 의한 안전관리자 선임자격, 액화석유가스 안전관리 및 사업법에 의한 안전관리자 선임 자격이 주어진다.
② 건설기술관리법에 의한 감리전문회사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가스시설시공업), 산업안전보건법에 의한 안전관리대행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으로 활동할 수 있다.
자격증 관계도

가스기사 자격증 관계도
가스기능사 : 가스기능사 시험은 가스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 기술사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산업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되고, 3년 이상 종사한 경우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하면 기능장 ·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가스산업기사 : 산업기사는 기능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능장 · 기술사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가스기사 : 기사는 산업기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가스기능장 : 기능장은 최고급 수준의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 관리, 소속 기능 인력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계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주는 현장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능장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가스기술사 : 기술사 자격은 기술자격증의 꽃이다. 각종 관련분야 취업뿐만 아니라 승진, 보직, 자격수당 등에서 우대받는 고급자격 · 면허증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산업기사는 5년, 기능사는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2023.05.16 - [분류 전체보기] - [국가기술자격증 총정리] 국가 기술자격증 총정리 / 직장인 자격증 추천
[국가기술자격증 총정리] 국가 기술자격증 총정리 / 직장인 자격증 추천
국가기술자격증 3D프린터개발산업기사 3D프린터운용기능사 가구제작기능사 가구제작산업기사 가스기능사 가스기능장 가스기사 가스기술사 가스산업기사 가스텅스텐아크용접기능사 거푸집기
dkfdpfdptm.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