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정보

[국가자격증정보] 최신 금속 재료 기능장 시험 정보 총정리 / 따는법 / 하는일 / 합격률 / 전망까지

최신 금속 재료 기능장 시험 정보 총정리


시험 일정 확인 하기


출제 기준 다운로드

금속재료기능장 출제기준 개정(2019. 1. 1 ~ 2022 .12. 31).hwp
0.04MB
금속재료기능장_출제기준(2023.1.1~2026.12.31).hwp
0.07MB

최신 출제 기준 확인


연도별 기출 문제 다운로드


 

금속재료기능장 실기 합격 후기

수수료

필기 : 34400 원 / - 실기 : 24800 원


금속재료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지고 금속열처리, 금속재료의 시험 및 안전관리 등을 담당. 또한 산업현장에서 소속 기능자의 작업관리 및 지도·감독, 그리고 경영층 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현장의 중간관리

 

1. 기본정보

(1)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2)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3) 응시자격 : 제한 있음
(4) 홈페이지 : www.Q-net.or.kr

2. 자격정보

(1) 금속재료기능장
  ① 금속재료기능장이란 응시자격을 갖춘 자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금속재료기능장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② 금속에 관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추고, 금속의 특성 및 시험원리를 이해하고 내구성있는 금속재료를 생산 · 시험할 수 있는 최상급 숙련기능인력을 양성하고자 금속재료기능장 자격제도를 제정하였다.

(2) 주요 업무 : 금속재료기능장은 금속재료에 관한 최상급 숙련기능을 가진 전문기능인력으로서 금속열처리, 금속재료의 시험 및 안전관리 등을 담당하게 된다. 또한 산업현장에서 작업을 관리하고, 소속 기능자의 현장훈련, 지도와 감독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경영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결합시켜 주는 현장의 중간관리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3. 시험정보

(1) 응시자격 :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

기술자격 소지자관련학과 졸업자순수 경력자
• 동일(유사)분야 기능장
• 산업기사 + 5년
• 기능사 + 7년
• 동일종목외 외국자격취득자
• 해당직무분야 산업기사 또는 기능사자격취득 후 기능대학 기능장과정 이수자(예정자) 실무경력 9년
(동일, 유사 분야)

※ 관련학과 : 교육기관과 훈련기관의 금속과, 재료과, 금속재료과, 열처리과, 재료정보과, 재료응용과, 신소재과 등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광업자원 중 채광, 기계, 화학, 전기 · 전자 중 전기, 안전관리, 환경 · 에너지 중 에너지 · 기상

(2)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시험과목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필기시험 금속열처리, 금속재료시험, 비파괴시험, 금속재료 및 안전관리, 자동생산시스템, 공업경영에 관한 사항 전 과목 혼합,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시험 금속재료 실무 필답형(2시간)

(3) 합격 기준 : 필기 ·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4)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5) 검정현황
  ① 필기시험

연도응시합격합격률(%)
2022 372 248 66.7%
2021 396 273 68.9%
2020 317 227 71.6%
2019 383 255 66.6%
2018 441 263 59.6%

금속재료기능장 필기시험

  ② 실기시험

연도응시합격합격률(%)
2022 344 89 25.9%
2021 378 149 39.4%
2020 348 80 23%
2019 427 81 19%
2018 421 93 22.1%

금속재료기능장 실기시험

4. 활용정보

(1) 취업
  ① 제철소, 제련소, 금속기계제조업체 등으로 취업할 수 있다.
  ② 조선 · 자동차 · 항공 · 전기전자 · 방위산업체 등의 금속재료의 품질관리나 생산관리 관련부서에 취업이 가능하다.
  ③ 엔지니어링컨설팅회사, 금속가공 및 제조업체, 정보, 연구소 및 교육기관에 진출할 수 있다.

(2) 우대
  ① 주로 품질관리(QC)부서에서 근무하는 것이 보통인데, 많은 업체에서 산업기사 이상의 상위자격 취득자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금속재료기능장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유리하다.
  ②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3) 가산점
  ①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을 준다. 금속재료기능장에게는 공업직렬의 금속, 야금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 · 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 · 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4) 자격 부여 : 금속재료기능장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산업환경설비공사업)으로 활동할 수 있다.

5. 자격증 관계도

금속재료기능장 자격증 관계도

금속재료시험기능사 : 금속재료시험기능사 시험은 금속재료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 기술사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산업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되고, 3년 이상 종사한 경우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하면 기능장 ·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금속재료산업기사 : 산업기사는 기능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금속재료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능장 · 기술사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금속재료기사 : 기사는 산업기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금속재료기능장 : 기능장은 최고급 수준의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 관리, 소속 기능 인력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계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주는 현장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금속재료기능장은 오랜 실무경력을 바탕으로 금속의 열처리, 재료시험 등 금속재료실무분야와 작업계획 등 작업 현장에서의 공정전반을 관리함으로써 최고 기술자로서 대우를 받는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능장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금속재료기술사 : 기술사 자격은 기술자격증의 꽃이다. 각종 관련분야 취업뿐만 아니라 승진, 보직, 자격수당 등에서 우대받는 고급자격 · 면허증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산업기사는 5년, 기능사는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