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정보

최신 금속 재료 기술사 시험 정보 총정리 (무료 기출 문제, 시험 일정, 응시 자격)

금속 재료 기술사에 대하여

최신 금속 재료 기술사 시험 정보 총정리

정리 목록
1. 하는 일
2. 응시 자격
3. 자격 정보
4. 시험 정보
5. 활용 정보
6. 자격증 관계도

수수료

필기 : 67800 원 / - 실기 : 87100 원


1.하는 일

철, 비철 재료를 포함해 기타 금속 재료의 특성, 사용에 관한 고도의 전문 지식과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금속 재료 설계 및 제조·응용, 제품 및 소재개발, 시험분석을 담당하면서 전체 공정을 지도. 또한 이론과 경력을 근거로 기술 자문을 합니다


2.응시 자격

(1)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2)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3) 응시자격 : 제한 있음
(4) 홈페이지 : www.Q-net.or.kr


3.자격 정보

(1) 자격 개요
  ① 금속재료기술사란 응시자격을 갖춘 자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금속재료기술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② 금속재료기술사는 현장에서 필요한 금속재료전반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풍부한 실무 경험을 갖춘 유능한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제정한 자격제도이다.

 

(2) 주요 업무 : 금속재료기술사는 철, 비철재료 기타 금속재료의 특성과 이용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 및 실무경험을 바탕으로 금속재료의 설계, 제조, 응용하는 업무를 수행하고, 제품 및 소재개발과 시험분석을 담당하면서 전체 공정을 지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론과 경력을 근거로 기술자문을 수행한다.


금속 재료 기술사 무료 기출 문제

(1) 응시자격 :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

기술자격 소지자 관련학과 전공자 순수 경력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술사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기사 + 실무경력 4년
∙ 산업기사 + 실무경력 5년
∙ 기능사 + 실무경력 7년
∙ 대졸 + 6년
∙ 3년제 전문대졸 + 실무경력 7년
∙ 2년제 전문대졸 + 8년
∙ 기사(산업기사)수준 훈련과정 이수 + 6년(8년)
실무경력 9년
(동일, 유사 분야)

※ 관련학과 : 4년제 대학교 및 전문대학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금속공학, 금속재료공학, 재료공학, 재료금속공학 등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광업자원 중 채광, 기계, 화학, 전기 · 전자 중 전기, 안전관리, 환경 · 에너지 중 에너지 · 기상

 

(2)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 시험과목 검정방법
필기시험

철 및 비철재료 기타 금속재료의 특성, 열처리, 시험 및 이용에 관한 사항

단답형 및 주관식 논술형
(매 교시당 100분, 총 400분)
면접시험 - 구술형 면접(30분 정도)

(3) 합격 기준 : 필기 및 면접시험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4)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5) 검정현황

 

  ① 필기시험

연도 응시 합격 합격률(%)
2022 47 21 44.7%
2021 63 23 36.5%
2020 48 19 39.6%
2019 37 13 35.1%
2018 46 20 43.5%

금속재료기술사 필기시험

  ② 실기시험

연도 응시 합격 합격률(%)
2022 38 12 31.6%
2021 31 9 29%
2020 33 21 63.6%
2019 23 6 26.1%
2018 26 14 53.8%

금속재료기술사 실기시험

 


5.활용 정보

(1) 창업 : 경력을 쌓아서 직접 제조업체나 사무소를 운영할 수 있다.

(2) 취업
  ① 제철소, 제련소, 금속기계제조업체 등으로 취업할 수 있다.
  ② 조선 · 자동차 · 항공 · 전기전자 · 방위산업체 등의 금속재료의 관련부서에 기술자문 및 지도업무를 담당할 수 있다.
  ③ 금속관련 연구소에 연구원으로 종사하면서 연구개발을 담당할 수 있다.

(3) 우대
  ① 주로 품질관리(QC)부서에서 근무하는 것이 보통인데, 많은 업체에서 산업기사 이상의 상위자격 취득자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금속재료기술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유리하다.
  ②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4) 가산점
  ①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을 준다. 금속재료기술사에게는 공업직렬의 금속, 야금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 · 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 · 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5) 자격 부여 : 금속재료기술사 자격을 취득하면 에너지이용합리화법에 의한 에너지절약전문기업 등록, 업무관리 대행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 엔지니어링기술진흥법에 의한 엔지니어링활동 주체 기술인력으로 활동할 수 있다.


6.자격증 관계도

금속재료기술사 자격증 관계도

 

금속재료시험기능사 : 금속재료시험기능사 시험은 금속재료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 기술사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산업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되고, 3년 이상 종사한 경우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하면 기능장 ·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금속재료산업기사 : 산업기사는 기능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금속재료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능장 · 기술사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금속재료기사 : 기사는 산업기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금속재료기능장 : 기능장은 오랜 실무경력을 바탕으로 작업 현장에서 공정전반을 관리함으로써 최고 기술자로서 대우를 받는다. 기능장은 최고급 수준의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 관리, 소속 기능 인력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계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주는 현장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능장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금속재료기술사 : 기술사 자격은 기술자격증의 꽃이다. 각종 관련분야 취업뿐만 아니라 승진, 보직, 자격수당 등에서 우대받는 고급자격 · 면허증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산업기사는 5년, 기능사는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2023.05.16 - [분류 전체보기] - [국가기술자격증 총정리] 국가 기술자격증 총정리 / 직장인 자격증 추천

 

[국가기술자격증 총정리] 국가 기술자격증 총정리 / 직장인 자격증 추천

국가기술자격증 3D프린터개발산업기사 3D프린터운용기능사 가구제작기능사 가구제작산업기사 가스기능사 가스기능장 가스기사 가스기술사 가스산업기사 가스텅스텐아크용접기능사 거푸집기

dkfdpfdptm.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