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정보

[국가자격증정보] 최신 금속 재료 기사 시험 정보 총정리 / 따는법 / 하는일 / 합격률 / 전망까지

최신 금속 재료 기사 시험 정보 총정리


시험 일정 확인 하기


출제 기준 다운로드

금속재료기사 출제기준 개정(2019. 1. 1 ~ 2022 .12. 31).hwp
0.05MB
금속재료기사_출제기준(2023.1.1~2026.12.31).hwp
0.14MB


공개 문제 다운로드

[공개문제]금속재료기사.pdf
0.07MB


무료 필기 기출 문제 다운 받기


 

금속재료기사 실기 설명

수수료

필기 : 19400 원 / - 실기 : 70500 원


금속 재료에 관한 기술기초지식과 숙련을 바탕으로 유효 광물의 함량이 적은 천연 광물로부터 정광을 얻기 위한 선광, 정광을 환원시켜 금속을 얻는 제련, 제련된 금속을 순도 높게 만드는 정련을 합니다

1. 기본정보

(1) 자격분류 : 국가기술자격증
(2)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3) 응시자격 : 제한 있음
(4) 홈페이지 : www.Q-net.or.kr

2. 자격정보

(1) 금속재료기사
  ① 금속재료기사란 응시자격을 갖춘 자가 산업인력공단에서 시행하는 금속재료기사 시험에 합격하여 그 자격을 취득한 자를 말한다.
  ② 금속재료기사 자격은 금속재료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시험, 분석, 조직검사, 열처리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기술인력을 양성하고자 제정하였다.

(2) 주요 업무
  ① 2020년부터 금속재료기사 자격취득방법에 과정평가형 자격제도가 도입되어, 기존의 검정형 시험 외에 과정평가형으로도 취득할 수 있다.
  ② 금속재료기사는 금속재료에 관한 기술기초지식과 숙련기능을 바탕으로 유효광물의 함량이 적은 천연광물로부터 정광을 얻기 위한 선광, 정광을 환원시켜 금속을 얻는 제련, 제련된 금속을 순도 높게 만드는 정련작업과 관련된 직무를 수행한다.

(3)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① 과정평가형 자격이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하여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교육 · 훈련 과정을 충실히 이수한 사람에게 내부 · 외부평가를 거쳐 일정 합격기준을 충족하는 사람에게 국가기술자격을 부여하는 제도를 말한다.
  ② 과정평가형 자격취득 가능 종목 : 금속재료기사 자격의 검정방식은 기존의 검정형과 과정평가형이 병행하여 운영된다.

금속재료기사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3. 시험정보

(1) 응시자격 : 응시자격에는 제한이 있다.

 

기술자격 소지자관련학과 전공자순수 경력자
· 동일(유사)분야 다른 종목 기사
· 동일종목 외국자격취득자
· 산업기사 + 실무경력 1년
· 기능사 + 실무경력 3년
· 대졸(졸업예정자)
· 기사수준의 훈련과정 이수자
· 3년제 전문대졸 + 실무경력 1년
· 2년제 전문대졸 + 2년
· 산업기사수준 훈련과정 이수 + 2년
실무경력 4년
(동일, 유사 분야)

※ 관련학과 : 4년제 대학교 이상의 학교에 개설되어 있는 금속공학, 금속재료공학, 재료공학, 재료금속공학, 금속, 신소재, 금형, 금형설계, 재료응용 등을 이수하면 자격취득에 유리하다.
※ 동일직무분야 : 경영 · 회계 · 사무 중 생산관리, 광업자원 중 채광, 기계, 화학, 전기 · 전자 중 전기, 안전관리, 환경 · 에너지 중 에너지 · 기상

(2) 시험과목 및 검정방법

구분시험과목검정방법 및 시험시간
필기시험 ① 금속조직학
② 금속재료학
③ 야금공학
④ 금속가공학
⑤ 표면공학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시험 금속재료 실무 복합형(필답형(1시간 30분) + 작업형(2시간 정도))

(3) 합격 기준
  ① 필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 과목 평균 60점 이상
  ② 실기 :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4) 필기시험 면제 : 필기시험에 합격한 자에 대하여는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일로부터 2년간 필기시험을 면제한다.

(5) 검정현황
  ① 필기시험

연도응시합격합격률(%)
2022 545 239 43.9%
2021 741 346 46.7%
2020 650 443 68.2%
2019 540 319 59.1%
2018 306 112 36.6%

금속재료기사 필기시험

  ②실기시험

연도응시합격합격률(%)
2022 333 129 38.7%
2021 433 268 61.9%
2020 449 299 66.6%
2019 332 245 73.8%
2018 158 87 55.1%

금속재료기사 실기시험

4. 활용정보

(1) 창업 : 경력을 쌓아서 직접 관련업체를 운영할 수 있다.

(2) 취업
  ① 제철소, 제련소, 금속기계제조업체 등으로 취업할 수 있다.
  ② 조선 · 자동차 · 항공 · 전기전자 · 방위산업체 등의 금속재료의 품질관리나 생산관리 관련부서에 취업이 가능하다.
  ③ 엔지니어링컨설팅회사, 금속가공 및 제조업체, 정보, 연구소 및 교육기관에 진출할 수 있다.

(3) 우대
  ① 주로 품질관리(QC)부서에서 근무하는 것이 보통인데, 많은 업체에서 산업기사 이상의 상위자격 취득자를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금속재료기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이 유리하다.
  ② 국가기술자격법에 의해 공공기관 및 일반기업 채용 시 그리고 보수, 승진, 전보, 신분보장 등에 있어서 우대받을 수 있다.

(4) 가산점
  ① 6급 이하 및 기술직공무원 채용시험 시 가산점을 준다. 금속재료기사에게는 공업직렬의 금속, 야금 직류에서 채용계급이 8 · 9급, 기능직 기능8급 이하와 6 · 7급, 기능직 기능7급 이상일 경우 모두 5%의 가산점이 부여된다. 다만, 가산 특전은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필기시험 시행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한다.

(5) 자격 부여 : 금속재료기사 자격을 취득하면 건설산업기본법에 의한 건설업 등록을 위한 기술인력(난방시공업),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용기 제조시설 안전관리자 선임 자격, 액화석유가스 안전 및 사업관리법에 안전관리자 선임 자격(가스용품 제조), 「품질경영 및 공산품 안전관리법」에 의한 공산품안전검사기관으로 지정받기 위한 기술인력으로 활동할 수 있다.

5. 자격증 관계도

금속재료기사 자격증 관계도

금속재료시험기능사 : 금속재료시험기능사 시험은 금속재료에 대한 기초를 다루며 산업기사, 기사, 기능장, 기술사 시험 응시에 도움을 준다. 기능사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산업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되고, 3년 이상 종사한 경우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하면 기능장 ·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금속재료산업기사 : 산업기사는 기능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금속재료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1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사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능장 · 기술사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금속재료기사 : 기사는 산업기사보다 한층 수준 높은 숙련기능과 기초이론지식을 가지고 기술분야의 업무에 종사하는 자격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금속재료기능장 : 기능장은 최고급 수준의 숙련기능을 가지고 산업현장에서 작업 관리, 소속 기능 인력의 지도 및 감독, 현장훈련, 경영계층과 생산계층을 유기적으로 연계시켜 주는 현장관리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산업기사의 자격을 취득한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5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자는 기능장 시험의 응시자격이 주어진다.

금속재료기술사 : 기술사 자격은 기술자격증의 꽃이다. 각종 관련분야 취업뿐만 아니라 승진, 보직, 자격수당 등에서 우대받는 고급자격 · 면허증이다. 기사자격 취득 후 동일직무분야에서 4년, 산업기사는 5년, 기능사는 7년 이상 실무에 종사한 경우 기술사 시험에 응시할 수 있다.

 

2023.05.16 - [분류 전체보기] - [국가기술자격증 총정리] 국가 기술자격증 총정리 / 직장인 자격증 추천

 

[국가기술자격증 총정리] 국가 기술자격증 총정리 / 직장인 자격증 추천

국가기술자격증 3D프린터개발산업기사 3D프린터운용기능사 가구제작기능사 가구제작산업기사 가스기능사 가스기능장 가스기사 가스기술사 가스산업기사 가스텅스텐아크용접기능사 거푸집기

dkfdpfdptm.tistory.com

 

반응형